2019년 한 해 동안 기존 소프트웨어 취약점과 이미 도용된 자격 증명(신원) 정보를 활용한 사이버 범죄가 전체의 60%에 달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IBM 엑스포스(X-Force) 보안 연구소는 2월12일 연례 보고서 ‘2020 IBM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IBM X-Force Threat Intelligence Index)’를 발표하면서 이 같은 내용을 강조했다.
IBM에 따르면 2019년 관찰된 보안 사고 중 취약점 스캐닝 및 취약점 공격(exploit)은 2018년 대비 22%p 증가한 30%를 기록했다. 해커들은 기존에 알려진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icrosoft Office) 및 윈도우 서버(Windows Server) 메시지 블록에 있는 오래된 취약점들을 다수 활용했다. 이들 취약점에 대한 패치를 하지 않은 기업들이 여전히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피싱의 경우, 2018년엔 전체 보안 사고의 절반을 차지한 데 비해 2019년에는 31%로 대폭 감소했다. 반대로 소프트웨어 취약점 스캐닝 및 취약점 공격 비율은 2018년 8%에서 2019년 30%로 크게 늘었다.
자격 증명 정보 도용은 2019년 전년 대비 200% 증가한 약 85억 건 이상의 기록 유출로 29%를 차지했다. 유출된 정보 중 약 85%인 70억건은 클라우드 서버 및 기타 시스템의 구성 오류로 인한 것이었다. IBM은 “기업들은 클라우드 보안에서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구성 오류로 인한 비율은 절반에 못 미쳤다”라고 전했다.
랜섬웨어 공격이 진화하면서 랜섬웨어로부터의 안전 지대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통, 제조, 운송 분야와 같이 돈이 되는 데이터가 많거나 오래된 기술을 사용하고 있어 취약성이 높은 산업에서 대규모 랜섬웨어 공격이 자주 발생했다. 또 지난 해 100곳이 넘는 미국 정부 기관이 랜섬웨어 피해를 입었다.
랜섬웨어 공격의 80%는 윈도우 서버 메시지 블록 취약점을 노린 공격으로 밝혀졌다. IBM은 2019년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한 피해액이 75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2020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운영기술(OT) 및 산업통제시스템을 겨냥한 표적 공격도 크게 늘었다. 2019년 OT 표적 공격이 전년 대비 2,000% 증가하는 등 산업통제시스템(ICS) 및 운영기술 인프라에 대한 공격이 대폭 증가했다.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취득(SCADA) 및 ICS 하드웨어 취약점의 조합, 비밀번호 유포가 많이 관찰된 OT 공격 유형들이었다.
IBM 엑스포스 침해 대응 및 인텔리전스 서비스(IRIS) 부문 글로벌 총괄 임원 웬디 휘트모어는 “대규모 데이터 유출 사고가 터지면서 사이버 범죄자는 훨씬 더 다양한 방법으로 가정과 기업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며 “훔친 자격 증명 정보로 ‘당당하게’ 네트워크에 로그인한 다음 공격한다. 기업은 그 어느 때보다도 다단계 인증, 단일 인증(SSO)과 같은 보호 기술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IBM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는 130여개 이상의 국가에서 발생하는 일 평균 700억 건 이상의 위협 이벤트를 수집 및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The post 유출된 신원 정보 및 알려진 SW취약점 악용한 사이버 공격 강타 appeared first on Bloter.net.